Posts

Showing posts from July, 2025

귀납의 문제(The Problem of Induction)

Image
추론(inference)에는 크게 두가지 유형이 있다. 논리학과 수학에서 쓰이는 연역법(deduction)과 자연/사회 과학과 경험에 의거한 실생활에서 쓰이는 귀납법(induction)이 그 두가지이다. 연역법은 모든 전제가 참(true)일시 결론 또한 필연적으로 참이며, 귀납법은 모든 전제 참일시 결론 또한 참일 확률이 높은 것이다. 이같은 차이는 일반적으로 쓰이는 연역법과 귀납법의 전개 체계에서 엿볼 수 있다. 연역법은 보통 공리(axiom)라는 보편적 진술에서 개별 사례로 귀결되기 때문에 전제로부터 결론의 진리값 전도율이 절대적이다. 이에 비해 귀납법은 개별적 진술에서 보편 사례로 귀결되기 때문에 진리값 전도율이 개별적 진술의 자료량에 의해 조건적이다. 물론 이같은 전반적인 전개 체계에 들어 맞지 않는 귀납법(예, 귀추법)도 있지만 전제의 참이 결론의 참을 보장하지 못한다는 것이 공통분모이다. 전통적인 지식론인 JTB 이론은 ‘지식’을 ‘정당화된 참된 믿음(justified true belief)’으로 정의한다. JTB 이론에 따르면 어떤 개체가 지식이 되려면 세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하는데, 첫번째 조건은 ‘믿음’이라는 심리적 상태, 두번째 조건은 참된 믿음, 세번째 조건은 정당화된 믿음이어야 한다. 첫번째 조건은 “ S 가 ‘ P ’를 안다”는 것은 “‘ P ’는 참이다”라는 것을 내포한다는 (어찌보면 자명한) 원칙에서 파생된다. ‘참’과 ‘거짓’, 즉 진리값은 명제(proposition)의 속성이다. 그렇다면 지식은 참된 명제에 관한 것이 되어야 한다. 그렇다면 지식을 얻기 위해서는 특정 명제의 사실 여부를 사유하고 이에 대해 입증 책임을 질 수 있는 (심리적) 상태를 갖추는 것이 필수조건이 되게 되는데, 이같은 조건을 만족시키는 상태가 ‘믿음’이라는 명제 태도(propositional attitude)이다. “ S 가 ‘ P ’를 믿는다”라는 것은 S 는 ‘ P ’를 참이라 여기고 있고, 이를 입증할 책임이 있다는 것을 내포하기 때문이다. 이어서 두...

Omnipotence Paradox and Problem of Evil

Image
Tintoretto, Moses Striking the Rock, 1555 - 1570 “Paradox is the philosophers’ enchantment, their fetish. It fascinates them, as a light does a moth. But at the same time, it cannot be endured. Every force available must be brought to bear to remove it. The philosopher is the shaman, whose task is to save us and rid us of the evil demon.” - Stephen Read, Thinking About Logic (1994) Can an omnipotent being create a rock that nobody can lift? If he can, then he made a rock that he himself cannot lift. Then, there is at least one thing he cannot do. So, this being is not omnipotent after all. If he cannot, then there is again at least one thing he cannot do. Thus, this being is not omnipotent. Therefore, it is argued, omnipotence is impossible. Ergo, either God exists and he is not omnipotent or God is omnipotent and does not exist. This is the paradox of (the concept of) omnipotence. In its form, this paradox is akin to the Epicurean problem of evil which states that either God exi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