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Showing posts from August, 2025

에스겔 1-11 노트

“그가 또 나를 데리고 여호와의 전으로 들어가는 북문에 이르시기로 보니 거기에 여인들이 앉아 담무스를 위하여 애곡하더라” (겔 8:14) “모든 백성이 그 귀에서 금 고리를 빼어 아론에게로 가져가매 아론이 그들의 손에서 금 고리를 받아 부어서 조각칼로 새겨 송아지 형상을 만드니 그들이 말하되 이스라엘아 이는 너희를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낸 너희의 신이로다 하는지라 아론이 보고 그 앞에 제단을 쌓고 이에 아론이 공포하여 이르되 내일은 여호와의 절일이니라 하니 이틀날에 그들이 일찍이 일어나 번제를 드리며 화목제를 드리고 백성이 앉아서 먹고 마시며 일어나서 뛰놀더라” (출 32:3-6) “세월이 지난 후에 가인은 땅의 소산으로 제물을 삼아 여호와께 드렸고” (창 4:3) “그들의 마침은 멸망이요 그들의 신은 배요 그 영광은 그들의 부끄러움에 있고 땅의 일을 생각하는 자라” (빌 3:19) “한 사람이 두 주인을 섬기지 못할 것이니 혹 이를 미워하고 저를 사랑하거나 혹 이를 중히 여기고 저를 경히 여김이라 너희가 하나님과 재물을 겸하여 섬기지 못하느니라” (마 6:24) “너는 나 외에는 다른 신들을 네게 두지 말라” (출 20:3) 에스겔서에서는 죄를 지어 주변 국가에게 잔인하게 정복당하는 이스라엘 백성의 모습이 예언된다. 여기서 말하는 죄는 우상숭배이다(겔 6-9). 이스라엘 백성이 어떤 우상을 섬겼는지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구절이 에스겔 8장 14절이다. 여기서 여인들이 ‘담무스(Tammuz)’를 위하여 애곡하고 있다고 묘사된다. 담무스는 고대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양치기와 농경의 신으로 풍요를 상징한다. 따라서 당시 이스라엘 백성의 주된 우상숭배 대상 중 하나는 풍요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성경은 반복적으로 풍요, 재물 등 물질주의적인 요소에 대한 우상숭배를 경고한다. 마태복음 6장 24절에서는 재물이 ‘마몬(Mammon)’이라는 개체로 신격화되어 하나님과 대치된다. 또한 마태복음 19장과 마가복음 10장에서는 각각 부와 하나님의 길이 서로 상반된다는 것을 강조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