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무술 철학) 무술의 실전성

Image
전통 무술의 실전성을 따지기 앞서 먼저 ‘실전’을 정의해야 한다. 생각보다 ‘실전’을 정의하기란 쉽지 않다. 단순하게 현재 MMA 룰이 실전에 가장 가깝지 않겠는가 하겠지만 필자가 보기에 이는 약 8할이 맞는 말, 2할이 틀린 말인 듯하다. MMA가 타 종목의 무술, 격투기 시합에 비해 포괄적인 경기 형태를 갖고 있기는 하지만 옥타곤이라는 특정 환경과 더불어 생명에 위협이 되는 급소 가격(낭심, 후두부 등), 무기술 등이 금지되어 있으므로 엄연히 ‘룰’이라는 것이 존재한다. 옥타곤이라는 환경은 맨땅과 달리 넘어졌을 때 몸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태클당한 후 그래플링 반격에 용이하며, 여러 사물과 장애물의 부재로 변수가 생략되도록 형성된 일관된 공간, 일종의 통제 환경(controlled environment)이다. 급소 가격과 무기술, 특정 기술(싸커킥, 스톰핑 등)이 배제된 환경 또한 변수를 줄이므로 이에 최적화된 격투술이 발전할 수밖에 없다. 물론 이와 같은 통제 환경을 여러 실제 상황들의 대략적인 공통분모로 여긴다면 MMA 룰에 의해 발전된 격투술이 여러 환경에 가장 응용성이 뛰어난 격투기 형태인 것으로 볼 수 있겠다. 즉, 안전, 지속 가능성 등 여러 현실적인 문제로 인해 ‘실제 상황’과는 어느정도 차이가 있을 수는 있겠으나, MMA 룰이라는 환경이 격투술이 특정 변수에 지나치게 최적화되어 범용성을 잃게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적어도 맨손격투에 관해서는 가장 응용성, 효율성이 뛰어난 격투기 형태 발전을 촉진한다고 볼 수 있겠다. 이는 우리가 ‘실전’ 혹은 ‘실제 상황’이라고 부를 만한 것에는 사실상 수천, 수만가지의 양식으로 이뤄져 있기 때문이며, 이에 따라 각 상황과 변수에 맞는 움직임을 모두 배우기 보다는 환경적 이상치(outlier)를 배제한 세팅에 적합한 기술을 배우는 것이 통계학적으로 범용성을 가질 확률이 높기 때문일 것이다. 또한 무기술 같은 경우는 애초에 타격술과 공방 논리가 다르기 때문에 두 가지를 병행 혹은 따로 훈련하는 방식...

The Aphorism of Psalm 118:22

Image
I crave to be with others because without “others” there is no “I.” That I am (identity) is a statistical-functional position within the deontic-inferential network of (in)compatibilities. To be is to be contrasted, for to be here-now is to be not there-then. I need you by me to be next to whom I am. I need the whole grid on which I emerge as a coordinate. Naturally, the cogito that I am strives to be attached to my surroundings, for otherwise it will be staring at a void. But what is staring if there is nothing to stare at after all? Alas, everything eventually evaporates into the air, and we shed tears because nothing stays forever. As the wise says, “No man ever steps in the same river twice.” Constantly, we drink of Lethe, ramble through the wilderness, to quench our thirst, to rise from one slumber to another, all the while what we feel close to are ever being distanced from us. In our hands are configurations of particulars, collections of ashes. So they will leave us again and ...

What Is Belief? (A Short Reflection)

Image
Psychological terms such as ‘belief’ and ‘desire’ are terms we use to describe facts  about ourselves. If so, what are we describing by these terms? What are these facts that we describe in terms of psychological states? What is it for something to be a belief or a desire? Here is a brief reflection specifically on belief. Naturally, one may start with the specific feeling they have when it occurs to them that they are in the state of believing, whatever believing may be. Psychological concepts such as BELIEF and DESIRE are folk-concepts. That is, through linguistic and social upbringings, we learn to use these concepts without necessarily knowing exactly what these concepts are referring to. Similarly, physical concepts such as HARDNESS are folk-concepts, and we learn to use them without necessarily knowing that hardness consists in certain configurations or dynamics of subatomic particles. It is only through theoretical physics do we come to understand what hardness really is. G...

에스겔 1-11 노트

“그가 또 나를 데리고 여호와의 전으로 들어가는 북문에 이르시기로 보니 거기에 여인들이 앉아 담무스를 위하여 애곡하더라” (겔 8:14) “모든 백성이 그 귀에서 금 고리를 빼어 아론에게로 가져가매 아론이 그들의 손에서 금 고리를 받아 부어서 조각칼로 새겨 송아지 형상을 만드니 그들이 말하되 이스라엘아 이는 너희를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낸 너희의 신이로다 하는지라 아론이 보고 그 앞에 제단을 쌓고 이에 아론이 공포하여 이르되 내일은 여호와의 절일이니라 하니 이틀날에 그들이 일찍이 일어나 번제를 드리며 화목제를 드리고 백성이 앉아서 먹고 마시며 일어나서 뛰놀더라” (출 32:3-6) “세월이 지난 후에 가인은 땅의 소산으로 제물을 삼아 여호와께 드렸고” (창 4:3) “그들의 마침은 멸망이요 그들의 신은 배요 그 영광은 그들의 부끄러움에 있고 땅의 일을 생각하는 자라” (빌 3:19) “한 사람이 두 주인을 섬기지 못할 것이니 혹 이를 미워하고 저를 사랑하거나 혹 이를 중히 여기고 저를 경히 여김이라 너희가 하나님과 재물을 겸하여 섬기지 못하느니라” (마 6:24) “너는 나 외에는 다른 신들을 네게 두지 말라” (출 20:3) 에스겔서에서는 죄를 지어 주변 국가에게 잔인하게 정복당하는 이스라엘 백성의 모습이 예언된다. 여기서 말하는 죄는 우상숭배이다(겔 6-9). 이스라엘 백성이 어떤 우상을 섬겼는지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구절이 에스겔 8장 14절이다. 여기서 여인들이 ‘담무스(Tammuz)’를 위하여 애곡하고 있다고 묘사된다. 담무스는 고대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양치기와 농경의 신으로 풍요를 상징한다. 따라서 당시 이스라엘 백성의 주된 우상숭배 대상 중 하나는 풍요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성경은 반복적으로 풍요, 재물 등 물질주의적인 요소에 대한 우상숭배를 경고한다. 마태복음 6장 24절에서는 재물이 ‘마몬(Mammon)’이라는 개체로 신격화되어 하나님과 대치된다. 또한 마태복음 19장과 마가복음 10장에서는 각각 부와 하나님의 길이 서로 상반된다는 것을 강조한...

귀납의 문제(The Problem of Induction)

Image
추론(inference)에는 크게 두가지 유형이 있다. 논리학과 수학에서 쓰이는 연역법(deduction)과 자연/사회 과학과 경험에 의거한 실생활에서 쓰이는 귀납법(induction)이 그 두가지이다. 연역법은 모든 전제가 참(true)일시 결론 또한 필연적으로 참이며, 귀납법은 모든 전제 참일시 결론 또한 참일 확률이 높은 것이다. 이같은 차이는 일반적으로 쓰이는 연역법과 귀납법의 전개 체계에서 엿볼 수 있다. 연역법은 보통 공리(axiom)라는 보편적 진술에서 개별 사례로 귀결되기 때문에 전제로부터 결론의 진리값 전도율이 절대적이다. 이에 비해 귀납법은 개별적 진술에서 보편 사례로 귀결되기 때문에 진리값 전도율이 개별적 진술의 자료량에 의해 조건적이다. 물론 이같은 전반적인 전개 체계에 들어 맞지 않는 귀납법(예, 귀추법)도 있지만 전제의 참이 결론의 참을 보장하지 못한다는 것이 공통분모이다. 전통적인 지식론인 JTB 이론은 ‘지식’을 ‘정당화된 참된 믿음(justified true belief)’으로 정의한다. JTB 이론에 따르면 어떤 개체가 지식이 되려면 세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하는데, 첫번째 조건은 ‘믿음’이라는 심리적 상태, 두번째 조건은 참된 믿음, 세번째 조건은 정당화된 믿음이어야 한다. 첫번째 조건은 “ S 가 ‘ P ’를 안다”는 것은 “‘ P ’는 참이다”라는 것을 내포한다는 (어찌보면 자명한) 원칙에서 파생된다. ‘참’과 ‘거짓’, 즉 진리값은 명제(proposition)의 속성이다. 그렇다면 지식은 참된 명제에 관한 것이 되어야 한다. 그렇다면 지식을 얻기 위해서는 특정 명제의 사실 여부를 사유하고 이에 대해 입증 책임을 질 수 있는 (심리적) 상태를 갖추는 것이 필수조건이 되게 되는데, 이같은 조건을 만족시키는 상태가 ‘믿음’이라는 명제 태도(propositional attitude)이다. “ S 가 ‘ P ’를 믿는다”라는 것은 S 는 ‘ P ’를 참이라 여기고 있고, 이를 입증할 책임이 있다는 것을 내포하기 때문이다. 이어서 두...

Omnipotence Paradox and Problem of Evil

Image
Tintoretto, Moses Striking the Rock, 1555 - 1570 “Paradox is the philosophers’ enchantment, their fetish. It fascinates them, as a light does a moth. But at the same time, it cannot be endured. Every force available must be brought to bear to remove it. The philosopher is the shaman, whose task is to save us and rid us of the evil demon.” - Stephen Read, Thinking About Logic (1994) Can an omnipotent being create a rock that nobody can lift? If he can, then he made a rock that he himself cannot lift. Then, there is at least one thing he cannot do. So, this being is not omnipotent after all. If he cannot, then there is again at least one thing he cannot do. Thus, this being is not omnipotent. Therefore, it is argued, omnipotence is impossible. Ergo, either God exists and he is not omnipotent or God is omnipotent and does not exist. This is the paradox of (the concept of) omnipotence. In its form, this paradox is akin to the Epicurean problem of evil which states that either God exists...

On the Meaning of Crucifixion

Image
Bartolomé Esteban Murillo,  The Crucifixion, 1675 -1682 Our sins are forgiven through the death of Jesus on the cross. What does this mean? What are the sins that are forgiven? How did Jesus accomplish forgiveness through the Crucifixion? It is important to answer these questions because part of believing in Christ involves believing in His power of resurrection, and one cannot be a believer without having some ideas about what he believes. (Can one be said to be believing that Nixon was the 37 th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without knowing to some extent what ‘Nixon,’ ‘president,’ and ‘the United States’ mean?) To be a Christian, one must be disposed to declare (or state) that Jesus is Lord (Rom. 10:9-10). But the noise that one is making is not to be counted as a declaration, i.e., as a locutionary act, unless the speaker knows the syntactic and semantic significance of his utterance. The remark that Jesus died for our sins is rather misleading because it is not immune to abu...